문제는...
CPU나 Mather Board를 교체, 또는 업그레이드 할때에 Socket 규격이 다양해서 좀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90% 이상 사용하고 있는 Intel CPU를 기준으로 Socket 규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Intel CPU Socket]
Socket 478 : Pentium4 ~ Pentium4 HT
Socket 775 : Pentium4 HT ~ Dual Core / Quad Core
Socket 1156 : 1세대 i Series (i3, i5, i7)
Socket 1155 : 2~3세대 i Series (i3, i5, i7)
Socket 1366 : 1세대 i7
Socket 2011 : 2~3세대 i7
HT : 하이퍼 쓰레딩(Hyper Threading)은 하나의 CPU(Core)가 2개의 작업을 동시에 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Ctrl + Alt + Delete를 선택해서 Windows 작업 관리자/성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클릭 ==> http://edyoon.tistory.com/442
[Intel, AMD CPU Socket 정리]
[아래는 Intel CPU Socket 1155를 정리한 내용 입니다.]
인텔사의 메인보드 소켓 규격은 다양 합니다. 메인보드와 CPU는 상호간 종속 관계 입니다.
1155 소켓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텔 CPU에서 사용하는 LGA 소켓 방식>
소켓1155는 현재 인텔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주력 제품군인 인텔 코어 시리즈 중 2세대 샌디브릿지와 3세대 아이비브릿지 시리즈 CPU에 적용이 되어 있습니다.
1nm = 1mm의 10억분의 1 (CPU 코어 2 듀오 : 65nm)
i(3, 5, 7) Series : Sandy Bridge(32nm)
i(3, 5, 7) Series : Ivy Bridge(22nm)
샌디브릿지 시리즈 |
인텔 샐러론 G500 시리즈 인텔 펜티엄 G600 시리즈 인텔 펜티엄 G800 시리즈 인텔 코어 i3-2000 시리즈 인텔 코어 i5-2000 시리즈 인텔 코어 i7-2000 시리즈
|
아이비브릿지 시리즈 |
인텔 코어 i3-3000 시리즈 인텔 코어 i5-3000 시리즈 인텔 코어 i7-3000 시리즈
|
<현재 판매 중인 소켓1155 CPU>
그리고 소켓1155 CPU를 사용하려면 메인보드도 소켓1155 방식이어야 합니다. 소켓1155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텔 6시리즈 칩셋 |
인텔 H61 인텔 H67 / H67(B3) 인텔 P67 / P67(B3) 인텔 Q67 인텔 Z68 |
인텔 7시리즈 칩셋 |
인텔 Z75 인텔 B75 인텔 H77 인텔 Q77 인텔 Z77 |
<현재 판매 중인 소켓1155 지원 메인보드>
edyoon.tistory.com
'■■▶PC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PC 정비(Graphic Card) (0) | 2010.10.12 |
---|---|
4=PC 정비(RAM, 주기억장치) (0) | 2010.10.11 |
3=PC 정비(CPU, 중앙처리장치) (0) | 2010.10.09 |
2=PC 정비(Main Board Slot & 내부 구조와 명칭) (0) | 2010.10.08 |
2=PC 정비(Main Board Back Panel & Front Panel, Power Supply) (0) | 2010.10.07 |
ALU, CU : 산술논리장치와 제어장치로 구성
중앙처리장치는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장치(Arithmetic Logic Unit)와 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담당하는 제어장치(Control Unit)로 구성된다.
산술논리장치(ALU)는 각종 덧셈을 수행하고 결과를 수행하는 가산기(adder)와 산술과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인 누산기(accumulater), 중앙처리장치에 있는 일종의 임시 기억장치인 레지스터(Regist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CU)는 프로그램의 수행 순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의 내용을 임시 기억하는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명령 레지스터에 수록된 명령을 해독하여 수행될 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명령해독기(Instruction Decoder)로 이루어져 있다.
[Intel CPU의 역사]
Micro Processor
i4004
i4040
i8008
i8080
i8085
i8086
i8088
i80186
i80286
Real Mode / Protected Mode
i80386
i80386SX
보조프로세서
(8087, 80287, 80387)
i80486
(한번의 클럭으로 1개의 명령어 처리 가능해짐)
ODP(Over Drive Processor)
Pentium(Pent + Intel + UM)
P54C
Pentium Pro(P6)
P55C(Pentium MMX)
Pentium II
펜티엄II 종류
Pentium III
Pentium 4 - Pentium 4 HT - Core2 Duo -
Core2 Quad(헥사코어-옥타코어) - i Series(3, 5, 7)...
[Cache Memory]
CPU의 등급과 가격을 구분 짓는 중요한 지표...
클럭 속도와 코어의 수 외에도, CPU의 성능을 가늠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기준은 CPU 안에 들어 있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의 용량이다.
‘캐시’라 줄여 부르는데, CPU 내부의 임시 저장공간으로서 CPU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는 곳이다.
이 캐시 메모리의 용량이 작으면 CPU에 비해 동작 속도가 훨씬 느린 주 기억장치(RAM, 메모리)나 보조 기억 장치(하드디스크, CD-ROM 등)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불러들이는 빈도가 높아지는데, 이런 경우 컴퓨터의 전반적인 처리 속도가 크게 저하된다.
결론적으로 CPU의 캐시 메모리는 크면 클수록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L1 캐시(Level 1)
CPU코어 안에내장된 캐시 메모리
명령캐시와 데이터 캐시로 나눔
L2 캐시(Level 2)
L1캐시와 메인메모리 사이의 캐시 메모리
CPU 처리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RAM)에서 미리 가져와
저장 해 놓음, 속도향상 효과
L3 캐시(Level 3)
L2캐시의 완충역할, L2가 빠름, 메인 메모리와의 속도 차 보완
CPU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인
아키텍처 : 제조공정 (Tr과 Tr을 연결하는 선의 굵기)
[Sandy Bridge 32nm, Ivy Bridge 22nm]
L2 캐시(Cache) : 용량이 클수록 좋음
L3 캐시(Cache) : 용량이 클수록 좋음(특정 CPU에만 장착)
클럭(Clock)속도 : 작동 클럭 속도가 빠를 수록 좋음
FSB(Front Side Bus) : 시스템버스(FSB)가 빠를 수록 좋음
[FSB = CPU - North Bridge (or RAM) BUS]
소켓(Socket) : CPU 핀 수가 많을 수록 좋음
낮은 전압으로 작동되는 CPU
+ 개별 실습과제 H/W CPU 정보검색 +
(스스로 정보검색 문제해결...)
1. 나노(nm) 단위의 의미?
2. Intel CPU 각 세대별 구분과 CPU 코드명은?
3. Sandy Bridge ? 세대 / Ivy Bridge ? 세대
4. 현재 가장 최근에 나온 Intel CPU 코드명과 세대는?
[CPU Over Clocking]
CPU를 정해진 규격의 Clock보다 높은 Clock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
모든 CPU가 Over Clocking이 가능한 것은 아님.
메인보드가 Over Clocking을 지원해야 함.
최근 메인보드는 Auto Over Clocking 기능이 내장.
Intel(Turbo Boost), AMD(Turbo Core) 기술 내장.
클럭(Clock)
컴퓨터 뿐만 아니라 관련 장치들은 모두 주기적인 전자신호로 데이터를 주고 받고 처리한다.
이 전자신호의 빠르기를 일컫는 말로 클럭이라는 표현을 쓰며, 단위는 Hz 를 사용한다.
1Hz 라는 것은 1초에 전자신호의 주기가 1번 바뀌는 것으로, MHz는 1초에 1,000,000번, GHz 라는 것은 1초에 약 1,000,000,000번 움직임을 의미한다.
CPU의 속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위는 ‘클럭(clock)’인데, 이는 1초당 CPU 내부에서 몇 단계의 작업이 처리되는 지를 측정해 이를 주파수 단위인 ‘Hz(헤르츠)’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 클럭 수치가 높을수록 빠른 성능의 CPU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1971년에 등장한 세계 최초의 컴퓨터 CPU인 ‘인텔(Intel) 4004’의 최대 동작 클럭은 740KHz(74만Hz)였으며, 2010년 현재 판매 중인 CPU인 ‘인텔 코어(Core) i7 960’의 동작 클럭은 3.2GHz(32억Hz)에 달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클럭 속도가 CPU의 성능을 나타내는 절대적인 기준이었지만, 최근에는 하나의 CPU에 2개 이상의 코어(Core)를 집어넣은 다중 코어(멀티 코어, Multi Core) CPU가 등장하여, CPU의 성능을 나타내는 또 하나의 기준이 되고 있다.
컴퓨터 CPU에서 코어란 CPU에 내장된 처리회로의 핵심 부분으로서, 예전에는 1개의 CPU 당 1개의 코어(단일 코어: Single Core)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당연했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을 즈음하여, 산업용/전문가용 컴퓨터를 위한 다중 코어 CPU가 출시된 적은 있었으나 특수한 환경에서만 사용되어 컴퓨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했다. 하지만 2005년, 2개의 코어를 갖춘 듀얼 코어(Dual Core) CPU인 인텔의 ‘펜티엄(Pentium) D’와 AMD의 ‘애슬론(Athlon)64 X2’가 등장하면서 다중 코어 CPU가 점차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2007년에는 4개의 코어를 갖춘 쿼드 코어(Quad Core) CPU인 인텔의 ‘코어2 쿼드(Core2 Quad)가 등장했으며, 2008년에는 듀얼 코어와 쿼드 코어 사이의 틈새시장을 노린 코어 3개짜리 트리플 코어(Triple Core) CPU인 AMD의 페넘(Phenom) X3도 출시되어 사용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또한, 2010년에는 코어를 6개나 내장한 헥사 코어(Hexa Core) CPU, 인텔의 ‘코어 i7 980X 익스트림 에디션(Extreme Edition)’도 출시된 바 있다.
Over Clocking 문제점
시스템 불안정, 다운 발생
하드 디스크 손상
CPU의 수명 단축
튜닝 후 발생되는 문제는 무상지원이 불가능
시스템 버스 (System Bus Speed)
CPU - 메모리 컨트롤러 - 메모리
[IntelCPU의 동작클럭 속도 / L2 Cache / FSB 비교]
[Intel Celeron CPU]
[CPU 온도]
[LGA Intel CPU & Cooler 분해/조립]
'■■▶PC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PC 정비(RAM, 주기억장치) (0) | 2010.10.11 |
---|---|
3=PC 정비(Intel, AMD CPU Socket 정리 / Intel CPU 1155 Socket) (0) | 2010.10.09 |
2=PC 정비(Main Board Slot & 내부 구조와 명칭) (0) | 2010.10.08 |
2=PC 정비(Main Board Back Panel & Front Panel, Power Supply) (0) | 2010.10.07 |
1=PC 정비(Power Supply Interface) & EMI, PFC, 80 Plus Logo (0) | 2010.10.06 |
[Main Board Slot]
[Main Board 명칭]
[Main Board 내부 구조]
edyoon.tistory.com
'■■▶PC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PC 정비(Intel, AMD CPU Socket 정리 / Intel CPU 1155 Socket) (0) | 2010.10.09 |
---|---|
3=PC 정비(CPU, 중앙처리장치) (0) | 2010.10.09 |
2=PC 정비(Main Board Back Panel & Front Panel, Power Supply) (0) | 2010.10.07 |
1=PC 정비(Power Supply Interface) & EMI, PFC, 80 Plus Logo (0) | 2010.10.06 |
1=PC 정비(HDD Interface & DiskInfo 유틸) (0) | 2010.10.06 |
[Main Board Back Panel & Front Panel]
(Main Board Back Panel)
eSATA란 External SATA라는 뜻입니다.
갼략히 설명드리자면 EIDE(PATA) 다음 세대의 인터페이스로 현재 HDD나 CD-ROM / DVD-ROM등의 ODD에서 사용되는 SATA 인터페이스를 외부로 뽑아낸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메인보드에 달려 있는 HDD 꼽는 SATA PORT가 변형되어 외부로 나온것 있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 편하실것 같습니다.
대신, 전원은 따로 공급을 받아야 합니다. USB 를 통해서나 혹은 따로 AC 어뎁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Hot Plug를 지원하며 최대 2m정도의 케이블을 쓸 수 있습니다.
(Main Board Front Panel)
1. 극성(+ -) 구분 함 : POWER LED, HDD LED, SPEAKER
2. 극성(+ -) 구분 안 함 : POWER Switch, RESET Switch
POWER Switch만 연결하면, 컴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조금은 불편할 뿐 입니다.
RESET Switch가 없는 본체도 있습니다.
[Power Supply]
[파워서플라이 필요 용량 계산]
= 컴 시스템 저 사양인 경우 : 350W ~ 400W
= 컴 시스템 고 사양인 경우 : 450W ~ 500W
= 컴 시스템 최고 사양인 경우 : 550W 이상...
파워가 고장이 나서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용량보다 큰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권장 사항 입니다.
CPU, VGA Card 의 성능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산 전자상가 파워 서플라이 판매 가격]
[개별 실습과제 - H/W 파워서플라이 정보검색]
Power Supply 관련 용어 스스로 알아보기
?? EMI / PFC / 80 Plus Logo ??
edyoon.tistory.com
'■■▶PC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PC 정비(CPU, 중앙처리장치) (0) | 2010.10.09 |
---|---|
2=PC 정비(Main Board Slot & 내부 구조와 명칭) (0) | 2010.10.08 |
1=PC 정비(Power Supply Interface) & EMI, PFC, 80 Plus Logo (0) | 2010.10.06 |
1=PC 정비(HDD Interface & DiskInfo 유틸) (0) | 2010.10.06 |
0=PC 정비(PC H/W 부품별 이미지 모음) (0) | 2010.10.05 |
컴퓨터 시스템의 주전원 공급 장치인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 규격의 종류와 용도를 알아 보겠습니다.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관련 용어]
★ EMI(전자파간섭 또는 전자파장해)는 전기·전자기기로부터 직접방사, 또는 전도되는 전자파가 다른 기기의 전자기 수신 기능에 장해를 주는 것을 말하며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의 줄임말이다.
국제전기표준회의(IEC)의 정의에 의하면 "EMI는 불필요한 전자기신호 또는 전자기잡음에 의해 희망하는 전자기신호의 수신이 장해를 받는 것"으로 돼 있다.
★ PFC
가정에서 사용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생기는 전력손실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FC에는 패시브방식과 액티브방식이 있으며 액티브방식이 더 효율이 좋습니다.
<PFC의 장점>
① 전자파를 줄일 수 있습니다.
②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③ 불필요한 전류가 열로 전환되어 생기는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④ 낮아진 온도 때문에 팬의 속도가 줄어들어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 80 Plus Logo
전력 효율성이 80% 이상 유지되는 제품에 붙여주는 인증 마크로 미국 에너지 효율 인증기관인 Ecos에서 발급합니다.
80 PLUS
80 PLUS Bronze
80 PLUS Silver
80 PLUS Gold
80 PLUS Platinum
80 PLUS Titanium
총 여섯 등급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등급이 올라갈수록 에너지 효율이 높아집니다.
고효율 테스트를 거친 80 PLUS Bronze등급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높은 등급인 80 PLUS Titanium은 90%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보여줍니다.
'■■▶PC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PC 정비(Main Board Slot & 내부 구조와 명칭) (0) | 2010.10.08 |
---|---|
2=PC 정비(Main Board Back Panel & Front Panel, Power Supply) (0) | 2010.10.07 |
1=PC 정비(HDD Interface & DiskInfo 유틸) (0) | 2010.10.06 |
0=PC 정비(PC H/W 부품별 이미지 모음) (0) | 2010.10.05 |
0=PC 정비(컴퓨터 관리의 기본 본체 내부 먼지 청소) (0) | 2010.10.04 |